여호와를 경외하고 악을 떠나라.(잠3:1-10)
1, 내 아들아 나의 법(法)을 잊어버리지 말고 네 마음으로 나의 명령(命令)을 지키라. 2, 그리하면 그것이 너로 장수(長壽)하여 많은 해를 누리게 하며 평강(平康)을 더하게 하리라. 3, 인자(仁慈)와 진리(眞理)로 네게서 떠나지 않게 하고 그것을 네 목에 매며 네 마음 판(板)에 새기라. 4, 그리하면 네가 하나님과 사람 앞에서 은총(恩寵)과 귀중(貴重)히 여김을 받으리라.
1 ) 솔로몬은 아들에게 자신이 주님께 받은 계명(법)을 전하고 잊지 말며 지키라 명했다.
솔로몬은 하나님께 받은 법(法, 히>토라, 헬>νόμος 노모스, law.~ 율법, 가르침, 법률, 구약전체)을 자신의 법이라 했고 이는 그가 주님과 연합(聯合, 히>라와, 헬>συμβιβάζω 쉼비바조, join.~ 주님과 한 영이 되다, 주님에게 돌아오다)하여 한 존재인 것을 천명한 것이며 이를 아들에게 본 삼으라 명했다.(잠3:1)
그리스도는 십자가를 지시고 부활 후 막달라 마리아를 만나 자신을 보이신 후 그의 형제들에게 네가 가서 내가 내 아버지 곧 너희 아버지 내 하나님 곧 너희 하나님에게 올라간다 하셨는데 이는 하나님과 아들 예수와 제자들이 연합하여 한 존재임을 말씀하셨고 “주님의 말씀은 곧 나의 명령”이다.(요20:17)
그러므로 주 안(內, 히>케레브, 헬>ἐν 엔, in.~ 안에, 가까이, 마음 속, 그리스도는 성도들 안에 계신다)에있는 자는 너희 안에 예수가 함께 계심을 알아야하고 그의 명령을 지키면 장수하며 평강(平康, 히>샬롬, 헬>εἰρήνη 에이레네, peace.~ 평화, 번영, 행복, 건강, 안전)을 더하게 된다고 말했다.(잠3:2,17.골1:2)
2 ) 인자와 진리가 마음에 있게 되면 하나님과 사람에게 은총과 귀중히 여김을 받는다.
그는 인자(仁慈, 히>헤쎄드, 헬>χρηστότης 크레스토스, loving kindness.~ 친절, 자비, 사랑, 예수의 온유와 겸손의 마음)와 진리(眞理, 히>에메트, 헬>ἀλήθεια 알레데이아, teuth.~ 사실, 성실, 실제, 참 이치, 주의 본성)로 네게서 떠나지 않게 하고 네 목에 매며 마음 판에 새기라 말했다.(느9:17.시23:6.마11:29)
그리하면 하나님과 사람 앞에서 은총(恩寵, 헤>헨, 헬>χάρις 카리스, favor.~ 호의, 은혜, 매력, 사랑)과 귀중(貴重, 야카르, 헬>τίμος 튀미오스, precious.~ 가치있다, 중요하다, 빛나는, 흔하지 않은)히 여김을 받는데 이는 네가 하나님의 생명을 받고 주와 동행하며 선한 일에 열심 하는 자기에 그렇다.(잠3:4.딛2:14)
그러나 악한 자는 악으로 달려가기에 빠르고 선을 행하는 자들과 죄 없는 자들을 까닭 없이 숨어 기다리다 음부(음부, 히>셰올, 헬>ἅδης 하데스, sheol.~ 무덤, 지옥, 죽은 자의 거처) 같이 산채로 무덤에 내려가는 자 같이 통으로 삼키려 하나 신자는 이를 경계하고 악한 자를 좇지 말아야만 한다.(잠1:10-19)
5, 너는 마음을 다하여 여호와를 의뢰(依賴)하고 네 명철(明哲)을 의지(依支)하지 말라. 6, 너는 범사(凡事)에 그를 인정(認定)하라 그리하면 네 길을 지도(指導)하시리라. 7, 스스로 지혜(智慧)롭게 여기지 말지어다 여호와를 경외(敬畏)하며 악(惡)을 떠날 지어다. 8, 이것이 네 몸에 양약(良藥)이 되어 네 골수(骨髓)로 윤택(潤澤)하게 하리라. 9, 네 재물(財物)과 네 소산물(所産物)의 처음 익은 열매로 여호와를 공경(恭敬)하라. 10, 그리하면 네 창고(倉庫)가 가득히 차고 네 즙(汁)틀에 새 포도즙이 넘치리라.
3 ) 너는 마음을 다하여 주를 의뢰하고 네 명철을 의지하지 않으면 네 길을 지도하신다.
솔로몬은 아들에게 너는 마음(헬>καρδία 카르디아, mind.~ 정신세계, 사람의 본성, 몸의 소욕, 생각)을 다하여 여호와를 의뢰(依賴, 히>바타흐, 헬>πείθω 페이도, trust.~ 믿다, 안심하다, 신용하다, 의지하고 부탁하다)하고 네 명철을 의지 하지 말라고 당부했으며 너는 범사에 그를 인정(認定)하라 명했다.(잠3:5)
스스로를 지혜롭다 하고 스스로를 명철(明哲, 히>테부나, understanding.~ 이해력, 지혜, 사리분별, 통찰력, 소유한 지식)하다 여긴 이스라엘은 거짓으로 끈을 삼고 죄악을 수레 줄로 함 같이 끄는(히>나하그, 헬>ἄγω 아고, lead.~ 인도하다, 몰다, 강제로 가게 하다) 자에게 화(禍)가 있다고 하셨다.(사5:18-21)
그 결과는 역사 속에서 증명되었고 솔로몬은 그의 아들에게 너는 범사(凡事, 히>콜 마세아, 헬>πᾶς 파스,every way.~ 모든 행위, 모든 일들)에 주님을 인정(認定, 히>야다, 헬>λογίζομαι 로기조마이, watches over.~ 알다, 인정하다) 하면은 네 길을 지도(指導) 하여 이끌어 주신다고 말했다.(잠3:5.마24:1,2)
4 ) 자신을 지혜롭게 여기지 말고 주를 경외하여 악을 떠나면 몸과 골수가 윤택케 된다.
하나님은 자신을 지혜(智慧, 히>호크마, 헬>σοφία 소피아, wisdom.~ 슬기, 현자, 많은 것을 아는 자)롭게 여기는 자들에게 이 같이 말씀하시기를 지혜로운 자는 그 지혜를 용맹한 자는 그 용맹을 부요한 자는 그 부함을 자랑(히>할랄, 헬>καυχάομαι 카우카오마이, boast.~ 뽐내다)치 말라 하셨다.(렘9:23.롬4:2)
주님은 자랑하려면 명철하여 나를 아는(히>야다, 헬>γινώσκω 기노스코, know.~ 알다, 깨닫다, 인식하다, 분별하다) 것과 나 여호와는 인애와 공평과 정직을 땅(히>아다마, 헬>γῆ 게, earth.~ 땅, 토지, 세상, 홁의 소재인 사람의 몸)에 행하는 자인 것을 아는 것으로 자랑함을 기뻐하신다 하셨다.(렘9:24.고전1:31)
솔로몬은 스스로(히>나페쉬, 헬>ἐμαυτοῦ 에마우트, independently.~ 자신, 나 스스로, 자발적) 지혜롭게 여기지 말고 여호와를 경외하여 악을 떠나면 양약이 되어 몸과 골수가 윤택(潤澤, 히>다쎈, be soaked.~ 살찌다, 번영하다, 뼈가 건강하게 된다)케 된다 하였고 이는 육체가 건강케 됨을 말한다.(잠3:8,15:30)
5 ) 네 재물과 소산물의 처음 익은 열매로 주를 공경하면 네 창고에 포도주가 넘치리라.
그는 지혜와 명철로 마음과 몸을 드려 주님께 경외와 봉사하고 자기 소유 중 처음 익은 열매(히>페리, 헬>καρπός 카르포스, fruit.~ 식물이 수정 후 맺는 결실, 행동으로 일어나는 결과, 성령의 열매)로 여호와를 공경(恭敬, 히>카베드, 헬>τιμάω 티마오, honor.~ 하나님과 부모 섬김)하라 말했다.(잠3:9,11:30.말3:10)
신약은 십일조(十一條, 히>마르세르, 헬>ἀποδεκατόω 아포데카토오. tithes.~ 십분의 일, 소득의 열중에 하나)에 대한 언급(言及)은 없지만 그리스도 예수는 이를 하나님의 것으로 말씀하셨고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드리라 하심은 만유는 아버지의 소유(所有)기 때문이다.(마22:17.엡4:6)
그러므로 바울은 복음을 받아드린 신자들에게 곧 적게 심는 자는 적게 거두고(히>아싸프, 헬>θερίζω 데리조, harvest.~ 모으다, 옮기다, 수확하다) 많이 심는 자는 많이 거두며 그러나 각각 그 마음에 정한 대로 할 것이요 인색함이나 억지로 하지 말며 하나님은 즐겨 내는 자를 사랑하신다고 말했다.(고후9:6-8)
솔로몬은 네 재물과 네 소산의 처음 익은 열매로 여호와를 공경하면 네 창고(倉庫, 히>베트 하오차르, 헬>ἀποθήκη 아포데케, the storehouse.~ 곳간, 곡식 저장고)가 가득차고 네 즙틀에 새 포도즙이 넘친(히>말레, 헬>περισσεύω 페리쓔오, overflow.~ 남다, 풍성하다, 넘치다)다고 말했다.(잠3:9,10.고후9:8)
아멘!
예수그리스도의 증인
왕 종 오 목 사
'하나님의 자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예수께로 난 의로운 자.(요일2:24-29) (0) | 2020.11.17 |
---|---|
누룩이 없는 그리스도인.(고전5:6-8) (0) | 2020.03.04 |
사람의 본분(本分) (전12:11-14) (0) | 2019.04.25 |
의인의 후대(後代)가 복이 있다.(시112:1-4) (0) | 2018.12.12 |
거룩하고 깨끗한 자녀의 약속(約束).고전7:13,14) (0) | 2017.10.05 |